[꿍꾸룽] 잠재성장모형 다집단분석 측정불변성

2021. 11. 3. 04:09통계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구조방정식 CFA에서는 다집단 분석 시 측정불변성을 확인해나가는 가이드라인이 어느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있지만 잠재성장모형에서는 CFA만큼은 아니라고 해요. 그래서 연구자가 속한 곳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절차를 밟아나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저는 심리학이고 해당분야의 국내연구들을 보니, 형태동일성 > 요인부하동일성(=측정단위동일성)을 많이 거치더라구요. 

 

측정단위 동일성 후 집단 간 평균차이를 검증할 때 카이스퀘어 검정을 이용하는 경우들을 보았어요. 그런 경우 잠재평균을 제약을 두어 검정을 하는 것이거나, 

 

혹은 측정단위 동일성 후 구조계수가 집단 간 동일한 가 검증할 때 카이스퀘어 검정을 이용하는 연구들을 보았습니다. 이런 경우 구조계수에 제약을 두어 검정을 하는 것이죠. (kenny 하나씩 제약 두는 것을 자신의 홈p에 게재)

 

저는 Mplus의 constraint 명령어를 사용할 예정이었어서 선행여구들 중에 측정불변성을 확인 한 후 다시 카이스퀘어 검정을 하는 것을 보고, 이건 뭐지!! 내가 모르는 무언가인가!! 당혹스럽다!! 내가 놓친게 있나?! 하며 예전 공부자료들 다시 뒤적뒤적하다보니, 결국 constraint 명령어를 사용하여 평균/구조계수를 확인하는 것이나, 각 계수들에게 제약을 두고 카이스퀘어 검정을 두는 것이 같은 것이더라구요. 

 

도착지는 같은 데 방법이 다른!

 

즉 정리하면, 

- 구조계수의 동일성은 제약하는 목적이 서로 같은 지 아닌지 카이스퀘어로 확인하는 것이 15-2 강의자료 (구방 187pg)에 나오는데 그렇게 안해도됨. (kenny 2014). constraint 쓰면 해결. 
- 구조계수의 동일성은 조절효과, 조절된매개효과를 확인할 때 보지 않아도 됨. 내가 헷갈렸던 것은 측정불변성을 보는 과정 중에 구조계수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절차가 있는 것인가? 하였는 데 답은 NO. 측정불변성 확인 후 구조계수의 동일성 (즉 연구자가 궁금한 것)을 확인할 때 절차가 같은 형태를 띄는 것일 뿐. 

* 형태동일성 > 측정단위동일성 > 절편동일성 보고 : constraint 하면 됨. 


 

1) 다집단 잠재성장모형 형태동일성 확인할 때

빨간 체크한 것처럼, 전체모형 명령 > 한 집단 모형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른 추정치를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ON statement도 같은 원리일 거라 생각하여

명령어 일부 삭제한 것이라 정확하지 않음.

전제집단 모형 명령 > 여자 집단 모형 명령어에서 ON 즉, 구조계수를 다르게 추정하라고 명령하였다고 생각했고

빨간 동그라미처럼, 여자 집단 모형 명령어에서 ON을 삭제했기에 남, 녀가 같은 구조계수를 가질 것이라 생각했어요. 그러고 분석을 돌려보니, 남/녀의 경로 구조계수가 다르게 나오더라구요. 이때부터 어어어엉?!하면서 다시 확인하기 시작했는데 이유는 남/녀의 구조계수는 (즉, 경로는) 1) 원리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레이블링 (이름지정)을 통해서 하는 것이더라구요. 즉, 다른 방법을 통해 "같은 추정치를 가져라"라고 명령할 수 있는 거였어요. 

 

그러니 구조계수를 집단 간 계속 다르게 추정한 것이었죠. 

 

출처 : 김수영교수님의 구조방정식 수업자료 중 편집

레이블링(이름지정)을 하게 되면, 같은 구조계수를 가져라! 라는 명령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위에 나온 내용 복붙) 즉 정리하면, 

- 구조계수의 동일성은 제약하는 목적이 서로 같은 지 아닌지 카이스퀘어로 확인하는 것이 15-2 강의자료 (구방 187pg)에 나오는데 그렇게 안해도됨. (kenny 2014). constraint 쓰면 해결. 

이런 이유로 인해서 제약 명령어를 쓸것이기 때문에 레이블링 방법은 따로 활용하지 않기로 했어요. 

 


제가 확인한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의 측정불변성 확인은

1) 형태동일성

2) 측정단위동일성 (요인부하 동일성)

확인 후, MODEL CONSTRAINT 명령어를 통해 집단 차이 검정을 하였습니다. 후 속시원하당. 

 


다시 속이 시원해 지지 않았어요 (..) 

다집단 잠재성장 모형의 n 표본크기가 3000이 넘어서 카이스퀘어가 과도하게 기각하는 것도 있기도 하였고, 

문제는 1)형태동일성, 2) 측정단위동일성(요인부하동일성) 3) 선형모형으로 설정하는 측정불변성을 확인하였는데 2)번 3)번 다 실패하고 1)으로 확인되었어요. 그러면.. 두개의 집단을 비교하지 못하게 되는 데 안돼!! 난 두개를 비교해야한다구우. ㅜ.ㅜ 

 

고민하다가, 구조방정식 자료를 뒤적뒤적했는데 이런 내용이 있었어요. 

 

실용적인 측정불변성확인에서

카이스퀘어 차이 검정은 모형적합도 확인을 위한 카이스퀘어 검정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음 (제 모형과 관련있는 것은 샘플사이즈=표본크기). 그래서 실용적인 방법을 이용해 측정불변성을 확인. CFI 이용.

 

얻은 결과를 한눈에 보기위해 임의로 정리(표 참고 : 김수영교수님 구조방정식 수업 자료)

 

 CFI 값이 #이내 감소하면, 측정불변성의 성립여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제 모형을 살펴보았더니 3) 선형모형까지 측정불변성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겠더라구요. 증말 다행이야..

 

 (자료 12-1 구방 강의. 149PG)

 

그래도 뭔가 찝찝해서, 일단 일번. 교수님께서 제안해주신 잠재성장모형에서 선형모형으로 처음부터 설정하고, 모형FIT확인 후 다집단 차이 검정하는 방법과 이번. 실용적인 측정불변성 확인에서 제 연구에 활용을 해야할 텐데

선행연구도 찾아봐서 근거를 탄탄히 하고, 교수님께서 제안해주신 부분은 CITATION을 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해야겠어요. 


빨리 통계 마무리해야지 효훃횽 이라고 외친지 며칠이 지난지 모르겠네요. ㅋㅋ 논문은 정말, 통계가 다인건가?!!?! ㅋㅋㅋㅋㅋ 하하하하하핳

 

:-) 당연히 아니겠죠 지금은 통계 때문에 힘들어서 이런 말 하지만, 나중에 글 적다보면 또 그거가지구 찡찡거리겠죠. ^0^ 호호홓. 

 

하하핳. 

 

논문, 통계 등 새로운 분야를 열심히 파고계시는 분들, 다들 화이팅입니다! 우리 잘해보아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