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통계(12)
-
[꿍꾸룽] spss 집단별분석 & 독립표본t검정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저는 집단별 분석을 할 거에요. 구체적으로는 성별에 따라 변인들이 어떤 차이를 보이느냐를 분석해볼 겁니다. 잠재성장 LGM 분석을 하기전에 독립표본T검정을 통해서 평균차가 있는 지를 보려고해요. 다른 두 집단의 평균차이를 보려는 것이기 때문에 독립표본T검정을 본 것이구요~ 기초통계 부분이기에 SPSS를 활용하였습니다. LEVENE의 등분산 검정에서는 등분산을 가정/가정하지 않음에 따라 값을 두개를 주어요. 둘 중에 어떤 것을 보느냐는 유의확률을 보고 판단하면 됩니다. 유의확률(P) > 0.05 = 등분산을 가정함 유의확률(P) < 0.05 = 등분산을 가정하지 않음 제가 캡쳐한 자료를 보면, PARETN_1, 5는 등분산을 가정한 값으로보고, 나머지는 등부산을 가정하지 않은 값으..
2021.10.31 -
[꿍꾸룽] SPSS 통계 분석 시 팁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통계 분석 할 때 어떤 프로그램을 쓰든, SPSS는 초반에 쓰게 되잖아요~ 저는 종단자료를 편집하는 데 데이터 차시별로 하나씩 하다가, 명령문을 이용하면 시간도 단축되고 실수도 덜 할 수 있다는 통계자문 선생님의 팁을 얻었어요. 유레카! 역시 잘 알아야, 효율적으로 뭘하든 할 수가 있네요. ㅋㅋㅋ 인생 전제문장. ㅋㅋㅋ 그래서 기억하기위해, 그리고 공유하기 위해 글을 작성해요. :-) 저처럼, 같은 사람, 같은 변인을 년도에 따라 반복, 추적조사했다면 1차시에서 사용하는 문항을 역항처리한 것은 2차시 - N차시까지 역문항처리해야하잖아요~ 그걸 클릭클릭으로 반복하지 않고 명령문으로 할 수 있어요. 시간이 진짜 엄청 단축되서 억울하기까지하더라구요. ㅋㅋㅋ *주의사항 : 각 SPSS파..
2021.10.31 -
[꿍꾸룽] LGM분석 전 자료정리 + 결측치처리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 잠재성장모형 분석 중에 있습니다. 함께 공부해요~~~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종단자료를 잘 편집해야 합니다. 그를 위해 기초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이에요. 여러자료를 참고해서 일단 목차를 적어봤습니다. 하면서 수정될 수 있을 것 같아요. 1) 각 차시 변수 골라내기 1-2) 신뢰도 차시별 계산 가능 (1차/2차/3차/4차/5차) 신뢰도, 크론바흐 알파에 대한 내용은 제가 좋아하는 유투버님 논문쓰는남자 의 영상 링크 달게요~ 역문항 채점 안했는 지도 이걸로 알 수 있는 건 첨 알았는데 너무 유용하네요. ^^ 해보니까 역문항 채점을 했는 지 이건 참고사항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음수로 나타나지 않는 역문항도 있더라구요. https://youtu.be/J6nD2n..
2021.09.02 -
[꿍꾸룽] 표준편차, 표준오차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꿍꾸룽이에요~. 기초통계인 분산, 편차, 표준편차, 표준오차 개념 정리하려합니다 :-) [분산] 분산도 (개념) : 자료의 퍼진 정도. 편차 : 평균 - 값 분산도를 수치로 계산 : 편차의 합 / sample size = 편차의 평균 문제 발생 : 편차의 총 합은 0 문제 해결 방법1. 절대 값 씌우기 > 탈락. 수리적으로 힘듦2. 제곱하여 다시 나누기 > 채택 분산 : 편차제곱의 합 / sample size 문제발생 : 수가 너무 큼 문제 해결 방법- 분산에 루트 씌워서 크기 줄이기 : 표준편차 표준편차 : 분산에 제곱근한 수치 결론 : 분산도 개념의 수치화가 편차를 활용한 분산. 분산의 수리적 단점을 해결한 것이 표준편차 즉, 분산도를 수치로 표현하려고 편차(각 값과 평균의 차이)을 계산..
2021.08.11 -
[꿍꾸룽] 구조방정식 복습 2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연구를 하면서, 통계의 중요성이 수면위로 다시 떠올라서, ㅎㅎ 복습하려고 구조방정식 공부 중이에요. https://dream2run.tistory.com/213 [꿍꾸룽] 구조방정식 복습 1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연구를 하면서, 통계의 중요성이 수면위로 다시 떠올라서, ㅎㅎ 복습하려고 구조방정식 공부 중이에요. 제 식으로 정리할거라, 많이 축약되어있거나, 한 내용이 많이 dream2run.tistory.com 이상값 일반적으로, 아웃라이어는 다른 변수 값들과 어울리지 않게 떨어져있는 값. 보통 이상값 판단 기준 : Z점수 +- 2~3. (참고 판단 기준일뿐) . 단변량 이상값과 다변량 이상값. 그래프로 보는 게 더 좋은 방법 (그림). 대부분의 값이 정한 범위를 벗어난 값을 ..
2021.08.11 -
[꿍꾸룽] 구조방정식 복습 1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연구를 하면서, 통계의 중요성이 수면위로 다시 떠올라서, ㅎㅎ 복습하려고 구조방정식 공부 중이에요. 제 식으로 정리할거라, 많이 축약되어있거나, 한 내용이 많이 길어질 수도 있긴하지만, 혹시 공부하시다가 몰라서 검색해온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모형 : 측정모형 + 구조모형 . 측정모형 : EFA(탐색적 요인분석), CFA(확인적 요인분석) . 구조모형 : 경로분석 모형과 연결.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 구조방정식 모형의 한계 .모형의 적합도 즉, 모형이 자료에 부합하는 정도의 지수가 만족되면(기준있음) 자신의 모형이 true model인 것으로 해석 함. 단 한계는, 인과관계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인과 모형 causal modelin..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