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3)
-
[꿍꾸룽] 애도, 바람직한 조력의 태도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이 전 포스팅에서는 애도란 무엇인가, 애도 작업이란? 그곳에서의 상담사 역할은 무엇인가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dream2run.tistory.com/113 [꿍꾸룽] 애도작업이란,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상실사건 이후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인 변화를 애도라고 합니다. 여기서 상실이라 함은 비단 "죽음", 눈에 보이는 "없어짐", 가시적 무(無)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 dream2run.tistory.com 오늘은 도움이 되는 책을 읽다가 기억하고 싶은 게 있어 정리합니다. 애도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조력의 태도는 무엇일까요? 빨리 헤쳐나가자고 재촉하는것? 좋은 기분으로 전환시켜주기 위해 외출하는 것? 가만히 옆에 있어주는 것? 제가 공부한 책, 자기실현과 정신건강_..
2020.09.02 -
[꿍꾸룽] 애도작업이란,
안녕하세요 꿍꾸룽입니다. 상실사건 이후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인 변화를 애도라고 합니다. 여기서 상실이라 함은 비단 "죽음", 눈에 보이는 "없어짐", 가시적 무(無)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심리적 상실까지 포함합니다. 상실 사건 이후 개인의 삶은 변화가 오길 마련인데, 이러한 변화인 애도를 거부, 억압하고 자신이 상실전에 지니고 있던 인지도식, 신념 등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을 애도회피라고 정의합니다. 애도회피를 하면, 불쑥 불쑥 부정적 감정이 원치도 않을 때 찾아오는 침투적 반추(계속 되뇌며 생각함)가 자주 나타나게 되고, 이는 개인의 심리적 고통을 증가시킬 수 밖에 없겠죠? 개인의 심리적 고통이 증가하여 여러가지 생활에 불편감이 생기니 찾게 되는 개인의 대처방식 중에 하나가 상담일 거에요. 상실..
2020.08.28 -
[꿍꾸룽] 심리학용어(영어) 12
안녕하세요. 애도에 관한 공부 중 관련 논문을 읽으며 정리한 심리학용어(영어)입니다. :-) 정의 참고한 논문명 : 조선화, 강영신. (2015). 애도 회피에 따른 침투적 반추가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 및 자기노출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641-663. loss 상실 trauma 외상 내부/외부의 강력한 자극으로 인해 정신이 갑자기 붕괴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현상을 가르킴 grief 애도 상실 경험 후 인지, 정서, 행동의 영역에서의 변화 grief work 애도작업 상실 경험 후 일어난 변화로 인해 발생한 정서, 사고를 직면케하는 인지 정서 과정. 이를 통해 상실에 대한 의미를 찾게하고 삶의 긍정적 변화에 관심을 둠 intrusive ruminat..
2020.08.27